https://sonsazang.tistory.com/131 언리얼 에디터 툴바에 Level Selector 플러그인 만들기 (Part 1)개발하게 된 과정언리얼 프로젝트를 개발하다 보면 여러 레벨을 오가면서 Play In Editor(PIE)를 자주 실행하게 됩니다. 그런데 매번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레벨을 더블 클릭하고, PIE 버튼을 누르는sonsazang.tistory.com FAB - Level Selector 링크 서론해당 글은 지난 글에서 제작하게 된 Level Selector 플러그인을 언리얼엔진 에셋 스토어인 FAB에 출시하는 과정을 담은 글입니다.제가 출시를 하는 과정 속에서 받은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서 가장 문제없이 출시할 수 있는 과정으로 준비했습니다!! Fab에 판매를 위해서는 미국..
해당 플러그인 출시 성공 했습니다.Fab의 등록하는 과정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 글을 읽어주세요!https://sonsazang.tistory.com/133 언리얼엔진 제작한 플러그인 FAB에 출시하기(Part2)https://sonsazang.tistory.com/131 언리얼 에디터 툴바에 Level Selector 플러그인 만들기 (Part 1)개발하게 된 과정언리얼 프로젝트를 개발하다 보면 여러 레벨을 오가면서 Play In Editor(PIE)를 자주 실행하게 됩sonsazang.tistory.com개발하게 된 과정언리얼 프로젝트를 개발하다 보면 여러 레벨을 오가면서 Play In Editor(PIE)를 자주 실행하게 됩니다. 그런데 매번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레벨을 더블 클릭하고, PIE..
두 번째 시간입니다.이번 포스팅에는 UI 작업도 많아서 영상을 참고하면서 진행하면 좋을것 같습니다.글이 조금 길지만 천천히 따라해보시면 생각보다 쉽게 구현 가능합니다. 해당 포스트는 총두 개로 진행됩니다.1. Unreal Engine Online Subsystem Steam 적용하기2. 세션 생성 후 세션 입장 테스트 하기1. 로비, 로드인 레벨 생성Content 경로에 Levels 폴더를 생성한 후 두 개의 레벨을 생성합니다.상단 File → New Level… (단축키 CTRL+N)LobbyLevel → Basic 레벨 생성 후 저장LoadInLevel → Empty Level 레벨 생성 후 저장 = 로비 레벨에서 세션 생성 후 로드할 레벨 2. AdvancedFriendsGameInstance 생성..
해당 포스트는 유튜브 튜토리얼을 참고해서 진행합니다.How To Create A Steam Multiplayer Lobby - Pitchfork Academy(MizzoFrizzo & Co.)해당 프로젝트는 Unreal Engine 5.5.3을 기반으로 진행됩니다.언리얼엔진에서 3인칭 스타트팩으로 프로젝트를 생성 후 시작합니다. 해당 포스트는 총두 개로 진행됩니다.1. Unreal Engine Online Subsystem Steam 적용하기2. 세션 생성 후 세션 입장 테스트 하기 시작합니다.1. Advanced Sessions 플러그인 적용https://vreue4.com/advanced-sessions-binaries해당 사이트에 있는 Repositories/Code → AdvancedSession..
https://github.com/NbcampUnreal/1st-Team3-CH3-Project GitHub - NbcampUnreal/1st-Team3-CH3-ProjectContribute to NbcampUnreal/1st-Team3-CH3-Projec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OPERATION - LYCAN 🎮📌 프로젝트 개요 OPERATION - LYCAN은 TPS 기반 생존 슈팅 게임으로,바이러스가 퍼진 세계에서 백신을 찾아 생존을 위해 전투를 펼치는 게임입니다. - 개발 기간: 2025.02.17 ~ 2025.03.06- 장르: TPS 액션 슈팅- 플랫폼: Windows PC (Unreal Engine 5)- 개발..
오늘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자연스럽게 발생한 현상입니다.테스트 레벨에서 진행할 때는 문제가 없던 기능이었는데 메인 레벨에 적용하면서 확인하니 UI 위에서 마우스 인풋액션의 메서드만 호출되는 버그가 발생하였습니다. 해당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쉬운 키워드인 "언리얼 엔진 5 - UI 위에서 클릭할 경우 마우스 인풋액션 비활성화" 이런 식으로 검색을 했는데 다양한 해결 방법을 다 시도했지만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원인UUserWidget을 사용할때 보통 CreateWidget을 통해서 생성한 후에 AddToViewport()를 선언해서 화면에 그리는 방식입니다.HUDInstance = CreateWidget(PlayerController, HUDClass);HUDInstance->AddToViewport..
UUserWidget 클래스에서 UWidgetAnimation을 에디터를 통해서 생성한 이후 블루프린트를 통한 애니메이션 실행은 정말 쉽습니다.간단하게 UMG 애니메이션을 키프레임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생성합니다.아래 예시로 만들게 된 애니메이션은 간단하게 Canvas Panel의 Render Opacity(투명도)를 0초일 때 0f에서 1초일 때 1.0f로 설정하는 애니메이션입니다. 이제 해당 애니메이션을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이벤트가 실행될 때 실행되도록 블루프린트에서 호출합니다.아래처럼 Play Animation 노드에서 FadeIn(Get) 애니메이션을 연결하면 간단하게 실행이 가능합니다.이제 해당 내용을 C++로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제가 구현한 코드로는 해당 애..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면서 C++ 자료구조를 최근에 많이 학습하게 되었습니다.이제는 조금 익숙해지기 시작했지만 정리를 한번 하고 진행하자 생각해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1. Vector (동적 배열) 개념 크기가 동적으로 변하는 배열연속된 메모리 블록을 사용하여 빠른 인덱스 접근 가능push_back을 활용해 원소 추가vector v = {1, 2, 3};// 원소 추가v.push_back(4); // {1, 2, 3, 4}v.emplace_back(5); // {1, 2, 3, 4, 5}// 원소 삭제v.pop_back(); // {1, 2, 3, 4}// 특정 위치 접근cout 활용 사례빠른 임의 접근이 필요한 경우정렬 후 사용 (배열 기반 문제)주의할 점중간 삽입/삭제 연산이 많다면 li..